무작정 리뷰ing/IT 리뷰ing

맥북 듀얼/트리플 모니터를 위한 A to Z (feat. displaylink elecable)

고주인 2022. 7. 15. 11:15

 

문제 인식 및 니즈

올해 3월쯤 고주인은 덜컥 맥북에어 M1을 구매하였습니다. 워낙 전례 없이 가성비 좋은 제품이라고 해서 왠지 맥북에어 M2는 성능이 좋더라도 가격이 저렴하지 않을 것 같았거든요.(예상 적중) 데스크탑도 노트북도 윈도우만 평생 쓰다가 맥북에어 사니 처음에는 새로워서 좋았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외장 모니터를 연결하면서 발생했습니다. 이 시대에 모니터 연결이 1대만 가능하다니요.OTL 맥북에어 M1뿐 아니라, 맥북프로 M1 13인치, 맥북에어 M2, 맥북프로 M2 13인치 또한 동일한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M1 맥북에어 비디오 지원 스펙
M1 맥북에어 비디오 지원 스펙

집에 굴러다니는 아이맥 21.5인치는 그렇다 쳐도, 13인치 맥북에어에 외장 모니터 1개로 살기는 어렵겠다 느껴지더라고요. 물론 가능합니다. 다만, 저는 뭐든 크고 많은걸 좋아해서 문제라고 생각했어요. (맥시멀리스트) 특히 모니터는 집 방마다 있고요. 당근으로 열심히 처리 중인데 왜 안 줄어드냐며 하메가 미스테리라고 할 정도죠. 제 지갑이 모니터를 자꾸 증식시키더라고요.(먼산)

 

어쨋든, 프로그래밍 공부하는데 원활한 환경을 갖추기 위해(핑계) 맥북에어 M1과 아이맥 21.5에 외장 모니터 2대 이상 연결 가능하도록 만들어 주는 뭔가가 필요했습니다.

 

여기저기 트리플 모니터 구현을 위한 정보를 보니 결론은 Displaylink Chipset이 포함된 제품(어댑터, 도킹스테이션)을 구매하면 해결할 수 있다고 합니다.(소비의 시간!)

 

선택 가능한 타입 2가지

맥에서 듀얼 혹은 트리플 모니터 구현을 위해 필요한 디스플레이링크 칩셋이 포함된 제품의 종류는 크게 2가지입니다.

도킹스테이션

많이들 추천하는 도킹스테이션은 Dell 제품입니다. 반드시 디스플레이링크가 표기된 도킹스테이션 모델이어야 합니다. 가장 안정적이고 국내 A/S까지 고려했을 때 Dell 제품을 많이 추천하시더라고요.

 

브랜드
제품명
Dell
D6000S, D6000, D3000, D3100

 

D6000과 D6000S는 4K 3대 추가가 가능하고, D3000과 D3100은 4K + FHD + FHD가 최대 연결 가능한 형태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비싸다는 점입니다. 최저가가 D6000S는 28만원, D3100은 24만원 정도입니다. 하지만 오래 안정적으로 사용하려면 구매하라고 추천하는 글이 많습니다.

그외 아마존 같은 해외 쇼핑 플랫폼 리뷰 보면, 'plugable'이나 'wavlink' 제품도 많이 사더라고요. 델 이외 이 두 브랜드의 리뷰 수가 많았습니다. 디스플레이링크 칩셋 포함 제품은 아마존 리뷰에서 m1 mac 유저라고 엄청 강조해 뒀더라고요. 뭔가 동질감이 느껴지고 반가웠습니다.

참고로 아래 첨부한 사진의 모델들 모두 displaylink certified라고 명기된 제품입니다.

디스플레이링크 칩셋 포함된 plugable 도킹스테이션디스플레이링크 칩셋 포함된 wavlink 도킹스테이션

마찬가지로 비쌉니다. 만약 유사하게 생긴 두 제품이 Dual 4K/5K라고 적혀 있는데, 어떤건 20만 근처이고, 어떤건 25만원이 넘는다면 무조건 비싼 제품만 displylink가 표기돼 있습니다.

만약 displaylink라고 표기되어 있는데 조금 저렴하다면, 100% 4k 외장 모니터는 한개만 지원하거나, 혹은 온통 FHD만 지원하는 제품일 것입니다.

특히 직구로 구매할 때, 제품이 유사하게 생겼다고 싼거 덜컥 사면, 반품 과정이란...머리 아플 거에요.

 

반드시 가격을 보면서 1차 필터링을 하고, 2차로 displylink 문구가 있는지 눈에 불을 켜서 제품을 찾아 보았습니다.

 

USB to HDMI 어댑터

주의할 것은 그냥 usb to hdmi adapter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반드시 디스플레이링크 칩셋 들어간 어댑터여야 합니다.

국내 리뷰 찾아 보면 Startech.com 리뷰가 많아요. 아래처럼 displaylink 표기되어 있으면, 싱글 HDMI 어댑터 기준 108USD 정도입니다. 환율 따지면 13만원 정도. 배대지에 한국 배송비까지 따지면 결국 15만원 정도겠네요.

디스플레이링크 칩셋 포함한 Startech.com 어댑터
디스플레이링크 칩셋 포함한 Startech.com 어댑터

 

그.런.데. 국내 리뷰는 많지 않지만 아마존에서 리뷰가 좋은 어댑터 브랜드가 있었습니다. 바로 elecable 어댑터! 저도 아래 링크에서 elecable 구매했습니다. HDMI + HDMI 제품으로요.

 

Amazon.com

Enter the characters you see below Sorry, we just need to make sure you're not a robot. For best results, please make sure your browser is accepting cookies.

www.amazon.com

USD97.97로 가격이 비교적 저렴합니다. 13인치 맥북 유저들이 좋다고 한 리뷰도 있어서 그냥 마음 놓고 구매 버튼 눌렀습니다.

제품 사진을 얼핏 보면 displaylink 로고나 글자가 없어서 불안하실 수 있어다.

하지만 구매할 때 안심하셔도 됩니다. 위 제품은 displaylink라는 단어나 로고 대신에, 'DL6950 display chip'이라고 디스플레이링크 칩셋 모델로 표시해 뒀습니다.

더모아 적금으로 쌓아뒀던 아마존 기프트 잔액도 좀 쓸겸, 한국으로 직배송해 주는 셀러 찾다 보니 위 링크에서 구매하였습니다.

 

 

고주인 어댑터 선택 기준 조건 2가지

위 제품들을 찾았고, (이미 결론을 밝혔지만요) 제품을 선택한 기준은 2가지였습니다. 

4K 외장 모니터 최소한 2개 연결 가능할 것

이 기준으로 인해 도킹스테이션이든 어댑터든 그나마 저렴한 모델들은 모두 옵션에서 소거되었습니다.

 

연결시 노트북이 충전되지 을 것

 고주인은 전자제품, 특히 노트북, 스마트워치, 스마트폰이 100% 완충된 상태로 계속 충전기에 꽂혀 있는 걸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냥 싫어합니다. 그래서 4k 두 대 이상 지원하는 도킹스테이션은 대거 탈락했습니다. 비싸고 좋은 도킹스테이션일수록 꽂는 순간 충전이 시작되더라고요.

따라서 Displaylink 칩셋 들어간 어댑터를 선택했는데요. 위에서 밝혔듯이 아마존 한국배송으로 구매했습니다.

어쨋든 이 구매 여정기와 리뷰 글을 보시고, elecable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걸 알리고 싶었습니다.

 

 

썸네일
썸네일

6월 28일에 구매하고 10일 후인 7월 7일 오전에 문자가 도착했습니다.

ECMS님이 발송한 소포 우편물이 본인비대면 배달되었습니다.

맨발로 당장에 현관문 열고 우편물을 겟겟합니다.

아마존 비닐 포장지
아마존 비닐 포장지

몰테일로 시킨 크롬캐스트가 먼저 올줄 알았는데, 의외로 아마존 직배송한 elecable이 먼저 도착했습니다. 아마존 포장지가 왠지 웃는 이모티콘 같아 기분 좋아서 찰칵했습니다.

비닐봉지를 뜯고 아래 박스 겟겟! usb 3.0에 꽂으면 4k dual로 확장모드 가능합니다.

elecable 제품 패키지
elecable 제품 패키지

윈도우는 물론이고, ​M1맥북에어, M1맥북프로 모두 이용 가능합니다. 7월 8일부터 사전예약 받는 M2맥북에어, M2맥북프로도 가능할 것입니다.

 

위 사진을 자세히 봐도 알 수 있는데, HDMI+HDMI / HDMI+DP / DP+DP 세 종류가 있습니다.

고주인은 HDMI X 2로 결정했어요. (모델명: elecable H-HD045)

본품 패키지 뒷면
본품 패키지 뒷면

 

박스 뒷면에는 세 모델들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디스플레이링크 칩셋인 DL6950이 내장된 제품으로 4K 모니터 두 대에 연결 가능합니다. 

패키지 구성
패키지 구성

박스를 열면 설명서를 비롯해서 어댑터 본품 및 케이블이 아주 심플하게 있어요. 

HDMI + HDMI 모델
HDMI + HDMI 모델

위에서 밝혔듯이 저는 HDMI + HDMI 모델을 구매했습니다.

USB-C to USB 3.0
USB-C to USB 3.0

USB-C to USB 3.0 변환 케이블도 들어있습니다. 굿굿. 썬더볼트 포트 2개만 달랑 있는 m1 맥북에어나 13인치 맥북프로 사용자 중 멀티허브가 없다면 요긴하게 쓸 수 있겠습니다.

 

어댑터와 맥북/아이맥 연결 3단계 절차

고주인은 우선 M1 맥북에어에 테스트를 시도했습니다. 이후에 굴러 다니던 아이맥 21.5인치에 테스트 했는데 4K 외장 모니터 2개가 확장모드로 정상 출력되는 것 확인하였습니다.

 

m1 및 m2 맥북 사용자라면 아래와 같은 3가지 단계가 필요합니다.

첫 번째. 하드웨어 연결

두 번째. 디스플레이링크 소프트웨어 설치

세 번째. 시스템 설정 조정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하드웨어 연결

elecable을 포함해서 어댑터를 구매하신 경우 아래 사진처럼 연결해 주시면 됩니다.

 

맥북에어 M1에 elecable을 연결한 모습
맥북에어 M1에 elecable을 연결한 모습

저는 USB-C Hub를 이용해서 연결하였는데요. 해당 Hub에 외장모니터1을 HDMI로 직접 연결하고, 나머지 외장모니터2는 elecable를 중계해서 Hub에 연결하였습니다. 

 

저처럼 Hub가 없으시다면 elecable 구성품에 들어 있던 USB-C to USB3.0 케이블을 사용하셔서 elecable에 2개의 HDMI를 몽땅 연결하셔도 무방합니다. :)

 

만약 맥북 본체 포함 4개의 모니터를 쓰고 싶으신 경우, 위 사진에서 elecable의 나머지 HDMI 포트에 추가 모니터를 연결하시면 됩니다. 다만, 이 때 2개는 4K, 나머지 1개는 FHD만 가능하다고 하네요.

 

하드웨어 연결이 완료되셨으면 우선 이 링크로 접속하셔서 'displaylink manager' 맥OS용 파일을 다운로드해 주세요. 예스예스 클릭하시고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displaylink 맥용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화면
displaylink 맥용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화면

시스템 환경설정 조정

바탕화면에서 사과 누르시고 시스템 환경설정 클릭하세요.

 

시스템 환경설정
시스템 환경설정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로 들어가 주시고요.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왼쪽 메뉴에서 화면기록 창 하단에 자물쇠 버튼 클릭해 주세요.

화면 기록
화면 기록

만약 비밀번호를 설정하신 상태라면 노트북/아이맥 전원 켜실 때 입력하시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비밀번호 인력 요구 화면
비밀번호 인력 요구 화면

비밀번호 누르신 후에 아래 사진처럼 DisplayLink Manager 옆 체크박스를 활성화해 주세요.

디스플레이링크 활성화
디스플레이링크 활성화

이제 디스플레이링크 소프트웨어가 제대로 켜졌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노트북 오른쪽 상단에 아래 사진처럼 빨강색 박스친 표시가 있다면 성공이에요.

디스플레이링크 소프트웨어 실행 여부 확인
디스플레이링크 소프트웨어 실행 여부 확인

참고로 디스플레이링크 아이콘 누르면 아래처럼 메뉴들이 뜰텐데요. 맥북에 2대 이상의 외장 모니터에 연결을 자주하실 경우, 'Launch automatically after login'을 체크해 두시면 편하실 겁니다.

디스플레이링크 소프트웨어 설정
디스플레이링크 소프트웨어 설정

 물론 항상 외장 모니터 여러대를 연결하시지 않으신다면 그때그때 수동으로 껐다 끄고 하시면 되니 체크하실 필요 없으십니다. 여담으로 확실히 디스플레이링크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면 배터리가 상대적으로 빨리 닳더라고요.

 

만약 하드웨어 연결, 소프트웨어 설치, 환경설정을 모두 마치셨는데도 2개 이상의 외장모니터가 연결되지 않을 경우는 재.부.팅.을 해주세요. elecable 어댑터 사용자 분은 아니었는데 재부팅 하니까 정상 작동한다고 말씀하신 글을 본 적이 있거든요.

 

.

.

.

아이맥에 2대의 외장 모니터가 연결된 모습
아이맥에 2대의 외장 모니터가 연결된 모습

오오오오오! (갑툭튀 아이맥 21.5) 하하 연결 화면은 아이맥 테스트할 때 찍었네요. 맥북에어로도 동일하게 화면이 나왔으니 안심하시기 바랍니다. 어쨋든 아이맥 본체 외 두 개 모니터 연결 완성했습니다! 연결한 모니터는 주연테느 32인치 4K 동일 모델입니다. (모델명: 주연테크 V32UE)

 

다시 말씀드리자면 해당 게시글의 방법은 M1 및 M2 맥북에어와 13인치 맥북프로에도 적용됩니다.

 

지금까지 고주인이었습니다.